테일러(Taylor),로버츠(Roberts),Weil(웨일),Gamble(갬블)의지역사회복지모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16:14
본문
Download : 테일러(Taylor),로버츠(Roberts),Weil(웨일),Gamble(갬블)의지역사회복지모델.hwp
지history회개발(community development)모델은 지역주민의 참여와 의식 變化(변화)를 중요시하며 자조와 지도력 개발에 역점을 두고 지history회 연구 및 문제 해결을 강조한다. 이 모델은 역량강화, 지도력 개발, 자립, 상호 원조에 중점을 둔 모델로서 지history회가 스스로의 욕구와 문제를 판단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을 때 적용하기 가장 좋은 실천 方案이다.
정치적 역량강화(political empowerment)모델은 Rothman의 사회행동과 비슷한 定義(정이) 으로 다양한 집단 간의 경쟁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투비컨티뉴드 )
설명
,%EB%A1%9C%EB%B2%84%EC%B8%A0(Roberts),Weil(%EC%9B%A8%EC%9D%BC),Gamble(%EA%B0%AC%EB%B8%94)%EC%9D%98%EC%A7%80%EC%97%AD%EC%82%AC%ED%9A%8C%EB%B3%B5%EC%A7%80%EB%AA%A8%EB%8D%B8_hwp_01.gif)
,%EB%A1%9C%EB%B2%84%EC%B8%A0(Roberts),Weil(%EC%9B%A8%EC%9D%BC),Gamble(%EA%B0%AC%EB%B8%94)%EC%9D%98%EC%A7%80%EC%97%AD%EC%82%AC%ED%9A%8C%EB%B3%B5%EC%A7%80%EB%AA%A8%EB%8D%B8_hwp_02.gif)
,%EB%A1%9C%EB%B2%84%EC%B8%A0(Roberts),Weil(%EC%9B%A8%EC%9D%BC),Gamble(%EA%B0%AC%EB%B8%94)%EC%9D%98%EC%A7%80%EC%97%AD%EC%82%AC%ED%9A%8C%EB%B3%B5%EC%A7%80%EB%AA%A8%EB%8D%B8_hwp_03.gif)
,%EB%A1%9C%EB%B2%84%EC%B8%A0(Roberts),Weil(%EC%9B%A8%EC%9D%BC),Gamble(%EA%B0%AC%EB%B8%94)%EC%9D%98%EC%A7%80%EC%97%AD%EC%82%AC%ED%9A%8C%EB%B3%B5%EC%A7%80%EB%AA%A8%EB%8D%B8_hwp_04.gif)
,%EB%A1%9C%EB%B2%84%EC%B8%A0(Roberts),Weil(%EC%9B%A8%EC%9D%BC),Gamble(%EA%B0%AC%EB%B8%94)%EC%9D%98%EC%A7%80%EC%97%AD%EC%82%AC%ED%9A%8C%EB%B3%B5%EC%A7%80%EB%AA%A8%EB%8D%B8_hwp_05.gif)
,%EB%A1%9C%EB%B2%84%EC%B8%A0(Roberts),Weil(%EC%9B%A8%EC%9D%BC),Gamble(%EA%B0%AC%EB%B8%94)%EC%9D%98%EC%A7%80%EC%97%AD%EC%82%AC%ED%9A%8C%EB%B3%B5%EC%A7%80%EB%AA%A8%EB%8D%B8_hwp_06.gif)
,인문사회,레포트
테일러(Taylor),로버츠(Roberts),Weil(웨일),Gamble(갬블)의지역사회복지모델
다. 이 모델은 작은 단위의 실천기관들이 클라이언트의 경제적 욕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자원 조정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계획(planning)모델은 Rothman의 사회계획모델에 인간지향적 측면을 강조한 것으로서 합리적 계획과 구체적 조사 및 기술을 강조한다.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테일러(Taylor),로버츠(Roberts),Weil(웨일),Gamble(갬블)의지역사회복지모델.hwp( 30 )
테일러(Taylor),로버츠(Roberts),Weil(웨일),Gamble(갬블)의지역사회복지모델테일러(Taylor),로버츠(Roberts),Weil(웨일),Gamble(갬블)의지역사회복지모델 , 테일러(Taylor),로버츠(Roberts),Weil(웨일),Gamble(갬블)의지역사회복지모델인문사회레포트 ,
테일러(Taylor),로버츠(Roberts),Weil(웨일),Gamble(갬블)의지역사회복지모델
테일러(Taylor),로버츠(Roberts),Weil(웨일),Gamble(갬블)의지역사회복지모델
테일러(Taylor), 로버츠(Roberts), Weil(웨일), Gamble(갬블)의 지history회복지모델
I. Taylor와 Roberts의 지history회복지모델
Taylor와 Roberts는 Rothman의 세 가지 모델에 두 가지의 모델을 추가하여 실천방법의 각 변인, 戰略, 의사 결정 등을 중심으로 구분하였다. 지역주민이 보다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environment(환경) 보다는 성장 위주의 경제 사회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다
지history회연계(community liaison)모델은 지역주민의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history회관계와 environment(환경) 改善, 조직 간의 관계와 같은 관계망을 구성하고자 한다.
program 개발 및 조정(program development and coordination) 모델은 지history회복지실천기관에서 수행하는 실천과정에 역점을 둔 것으로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당연하게 체제 유지적이며 자원의 총량을 확대하는 데 관심이 많다. program 개발 및 조정모델은 기능적 지history회, 공공기관, 지history회복지관 등에서 특定義(정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역점을 둔 모델로 인보관 운동과 자선조직협회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다만 이 모델은 지역주민보다는 기관을 지원하는 후원자가 절대 권한을 가지고 있으므로 클라이언트의 역할은 완전히 배제된 상황이다. 후원자가 7/8의 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으므로 클라이언트는 적극적 문제 해결자로서의 역할보다는 다소 소극적인 수혜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aylor와 Roberts에게 계획모델은 지역적 차원 더 나아가 국가
적 차원에서의 거시적 계획 수립을 의미한다. 제3세계와 같이 저 개발된 국가와 미국과 같이 개발된 국가에서의 적용이 다소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Rothman의 모델에서와 같이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중요시하며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기 위해서 교육적 방법을 강조한다. 특히 `후원자 결정`의 실천 연구 方案과 `클라이언트 결정`의 실천연구 方案 사이의 긴장감에 대해 흥미로운 分析을 하였다. 최근 지history회의 문제가 복잡하고 다원화됨에 따라 지history회기관 간의 관계, 다른 기관에서의 협력과 지지, environment(환경) 改善 등의 활동에 역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지history회를 중심으로 하는 사회복지활동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문가와 클라이언트의 협력과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앞에서 언급한 program 개발과 조정모델과의 연계가 필요한 모델이다.
Brager와 Specht도 지역주민과 후원자 그리고 지history회복지사의 관계를 목표(goal) 수립하는 과정에서 일관성 있는 통합 목표(goal)를 수립하는 관계로 설명(說明)하고 있지만 Taylor와 Roberts처럼 권한관계로 설명(說明)한 것은 아니다. 이 모델은 지history회복지기관이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강조하여 지history회 이해관계, 보조 활동, environment(환경) 조사, 그리고 조직 간의 이해관계 등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계획모델은 分析적이고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정치권력에 effect(영향) 을 미치려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물론 이러한 권한관계가 지history회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지역주민이 어느 정도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느냐는 관점에서 지역주민의 역할을 규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Taylor와 Roberts의 모델은 Rothman의 모델에 사회계획모델과 사회행동모델을 더욱 발전시켜 program 개발 및 조정과 지history회연계라는 두 가지의 모델을 추가하여 다섯 가지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추가된 두 가지의 모델은 지history회의 자원 조정과 동원이라는 관점에서 지history회와의 협력과 연계를 보다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기존의 사회체계를 유지하고 사회적 연대성과 공동체 의식을 배양하는 데 역점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