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여성의 사회적 지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05:13
본문
Download : 북한여성의 사회적 지위.hwp
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만 16세 이상 노동인구가 57.2%가 여성으로 나타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따 군인을 제외한 생산연령 인구의 57.2%가 여성이고 42.8%가 남성이라는 통계는 북한에서 여성노동력이 더 얼마나 중요한 위치에 있는가를 시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따
북한에서는 직업선택의 자유가 극히 제한되어 있따 근로자의 희망은 고려되지만 중앙집권적 노동력 배치 계획에 따라 직업이 배치되기 때문일것이다 따라서 현재 나타나고 있는 노동력의 산업별 직종별 분포는 노동력의 배치원칙의 결과라고 할 수 있따 해방 이후 지금까지 북한 당국이 고수해 온 노동력 배치원칙은 여성들과 `쉽고 험한 일`에 배치한다는 것이다. 첫째, 북한 노동력의 과반수이상이 노동자로 분류되고 있어 광공업의 종사자의 비율이 매우 높다.북한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글입니다. 둘째, 농민이 전체 주민의 4분의 1정도를 차지하여 아직까지 농업의 비중이 큰 고용구조를 가지고 있따 셋째, 성에 따라서 직업구성비가 크게 달라지는 성별 직업분리 현상이 뚜렷하게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따 그러나 이는 직업분류가 지나치게 단순하고 실제로 직장이 없는 주부의 직업을 남편의 직업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 통계 작성상의 문제로 인한 결과일 뿐이다. 이 원칙에 의거 여성 노동력 분포를 보면 경제정책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난 농업과 경공업, 교육, 보건, 편의봉사, 사무원, 상업유통 등에 집중되어 있따
이러한 결과는 여성의 일을 쉬운 일 보조적인 일로 보려는 가부장적 사고가 직업배치의 원칙에 명시되어 있는 것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이것은 북한이 반세기 동안 여성해방의 실현을 위해 여성의 노동계급화 정…(skip)
Download : 북한여성의 사회적 지위.hwp( 60 )






북한여성의 사회적 지위
,의약보건,레포트
북한여성의사회적지위
설명
북한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글입니다.
북한 취업구조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북한여성의사회적지위 , 북한여성의 사회적 지위의약보건레포트 ,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1. 머리말 ------------------------ 2
2. 북한여성의 경제활동 내역
(1) 경제활동 참가율 ----------------- 2
(2) 취업구조 ----------------------- 3
3. 북한여성의 사회적 지위 ------------- 3
4. 남북한 여성의 경제적 지위비교 -------- 5
5. 통일과 북한의 여성노동의 展望
(1) 실업문제 ----------------------- 6
(2) 취업 여성의 육아문제 ------------- 7
(3) 인구이동과 농촌인력의 여성화 문제 --- 7
(4) 교육 문제 ---------------------- 7
6. 맺음말 --------------------------- 8
북한의 직업은 크게 노동자, 농민, 사무원으로 분류된다 북한의 남성 근로자의 58.4%는 노동자, 24.1%는 농민 그리고 16.5%는 사무원 및 국가기관의 근로자이고 여성근로자 56.2%는 노동자, 26.4%는 농민 그리고 17.3%는 사무원 및 공무원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