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사회복지 협의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4 05:26
본문
Download : 지역 사회복지 협의체.hwp
순서
다.
Download : 지역 사회복지 협의체.hwp( 30 )
지역 사회복지 협의체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지역 사회복지 협의체인문사회레포트 , 지역 사회복지 협의체
지역 사회복지 협의체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인문사회,레포트




[지歷史회복지협의체]
1) necessity
(1) 현재 지歷史회 내 다양한 기관, 단체들이 보건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연계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2) 이로 인해 각 기관에서는 고유 소관 업무만 담당하고 있어 대상자에 대한 서비스 중복, 누락문제가 발생
(3) 또한 대상자가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관을 수목차 방문해야 하는 결점이 나타나고 있음
2) 시행
- a social worker(사회복지사) 업법 제 7조2의 1항에 따라 2005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
3) 협의체의 목적
(1) 지歷史회 내 복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민주적 의사소통 구조를 확립
: 지역복지계획 수립 등에 민간참여 기반 마련
: 서비스 제공 실무자들이 활발하게 논의할 수 있는 구조 마련
(2) 수요자 중심의 통합적 복지서비스 제공
: 지歷史회 보건복지 서비스 제공자간 연계망 마련
: 주민대상 원스탑 서비스 제공
(3) 지歷史회 복지자원의 효율적 활용
: 지歷史회 복지자원 발굴, 필요복지자원 확충
: 서비스 제공기관간 정보공유
4) 지歷史회복지협의체 기능
- 사회복지부문 주요사항 심의
- 서비스 부문간 연계강화
- 지歷史회 복지자원 개발과 발굴
- 지역복지계획관련 논의
- 협의된 사항 시행과 관련된 모니터링
5) 지歷史회복지협의체 구성
- 위원장을 포함한 10인 이상 20인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
: 사회복지, 보건의료과 관련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 a social worker(사회복지사) 업을 행하는 기관, 단체의 대표자
: 보건의료사업 행하는 기관, 단체의 대표자
: 공익단체에서 추천한 자
: 사회복지업무 또는 보건의료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중에서 시군구청장이 임명한 자
6) 실무협의체의 기능
- 서비스 제공 및 서비스 연계에 관한 협의
-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업안을 협의, 상정
- 협의된 안을 지歷史회복지 협의체에 상정
- 실무분과의 現況(현황) 점검
- 실무분과 간 연계 및 조정
- 실무분과에서 발의된 이슈에 대한 논의
[지…(To be continued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지역 사회복지 협의체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