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의 발달과정과 미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11:58
본문
Download : 전화의 발달과정과 미래.hwp
40년대에 자동교환기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는데 이는 transistor(트랜지스터) 발명과 IC(집적회로)의 개발에 의한 것이었다. 80년대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급격한 발전으로 분산제어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문제가 해소되었다.전화의발달과정과미래 , 전화의 발달과정과 미래공학기술레포트 ,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전화의발달과정과미래
1. 전화기의 concept(개념)
2. 전화의 발명
3. 교환기의 발달
4. 한국의 전화·전화기의 발달
5. 전화의 분류
6. 전화의 특수서비스
7. 전화의 현재와 future
【참고 reference(자료)】
3. 교환기의 발달
최초의 교환기는 1877년 미국의 보스턴에서 사용된 것으로 자석식이었다. 5년 뒤 스웨덴의 에릭슨사가 AXE-10을 상품화하였다. 이는 가입자 변경 등의 관리기능이 데이터 입력만으로 가능하고 호로그램 변경을 통해 교환기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것으로 종전보다 훨씬 경제적이었다.
1920년 이런 결점을 보완하여 스웨덴에서 크로스바자동교환기가 고안되었고 그 뒤 여러 가지 자동교환기가 등장하였다. 즉 자동교환기의 두뇌부분인 계전기(繼電器)를 transistor(트랜지스터) 와 IC로 바꿈으로써 컴퓨터를 교환기에 도입하였는데, 58년 벨연구소에서 발명한 축적호로그램방식의 전자교환기가 그것이다. 이 때의 교환방식은 단단(step by step)방식으로, 구조상 접점수가 제한된 까닭에 대용량의 교환은 불가능하였다.순서





전화기의 개념과 전화의 발명 및 분류, 현재와 미래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89년에 미국의 A.B. 스트로저가 자동교환기에 대한 발명특허를 얻고 이를 개량하여 92년부터 스트로저자동교환기가 사용되었다. 뒤에 공전식(共電式)으로 바뀌기는 하였으나 수동식을 벗어난 것은 아니었다. 이는 음성뿐 아니라 문자·도형·그림 등의 정보를 디지털신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 것이었다.
다.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전화의 발달과정과 미래.hwp( 94 )
설명
전화의 발달과정과 미래
전화기의 定義(정의) 과 전화의 발명 및 분류, 현재와 미래에 관련되어 설명했습니다.
4. 한국의 전화·전화기의 발달
최초의 실물은 1882년 3월 톈진[天津(천진)] 유학생 상운(尙雲)이 귀국하면서 가져온 것인데 이것으로 시험통화를 하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후 데이터통신의 보편화와 교환·전송 기술의 디지털화로 종합통신인 정보통신이 급속히 보급되자 전전자교환기(全電子交換機)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중앙집중제어방식이라 사고시 전체기능이 마비되는 단점을 가졌다. 국내 최초로 개통된 전화는 궁중전용으로 전화기 9대가 도입되었다.
최초의 전전자교환기는 프랑스 알카텔사가 70년에 개발한 E10A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