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적 절삭 현사의 analysis을 기초로 한 연삭theor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20:05
본문
Download : [논문.hwp
이들 탄성 및 소성영역은, 칼날과 공작물과의 접촉길이 중에서 대단히 큰 역할을 차지하며, 때로는 칼날과 공작물과의 접촉전역(全域)이 탄성영역만, 혹은 탄성 또는 소성영역만에서 잘리고 남은 부스러기는 생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따 이처럼, 칼날이 공작물과 1회 접촉하는 동안에는, 탄성 및 소성변형 따위의 절삭현상과는 전혀 다른 성질의 또다른 변형과정이 존재하며, 이들의 영역이 연삭현상을 본질적으로 지배한다. 예를들어, 연삭가공면의 상태를 볼 때, 가공면은 칼날과 공작물과의 접촉시점 부근의 금속 즉, 탄성 또는 소성변형되는 금속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처럼, 연삭가공에 걸친 지립칼날의 절삭과정은 과도적이며, 따라서 연삭현상을 본질적으로 이해하여, 그 진실한 발전을 꾀하기 위해서는 지립칼날의 절삭과정이 과도적이라는 관점에서 칼날과 공작물과의 상호간섭을 명확히 한 위에서 연삭현상을 지배하는 요소를 명백히 하지 않으면 안된다
과도적절삭현사 연삭이론 가공조건 연삭저항
과도적 절삭 현사의 analysis을 기초로 한 연삭theory
순서
레포트 > 기타





1. 서언
3. 연삭저항
다.
과도적절삭현사 연삭이론 가공조건 연삭저항 / ()
Download : [논문.hwp( 42 )
과도적절삭현사 연삭theory 가공조건 연삭저항 / ()
2. 해석에 쓰이는 기초사실
설명
연삭가공에 있어서는, 칼날과 공작물과의 접점시점부터 잘리고 남은 부스러기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탄성 또는 소성(塑性)영역을 지나야 처음으로 절삭현상이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