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세총통에 대하여 / 세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54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5:34
본문
Download : [인문학] 세총통에 대하여.hwp
그리고 그 출현의 歷史(역사)적 배경은 승자총통과 마찬가지로 북방의 ...
설명
세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54호 ▒ 지정연월일 1986년...
다. 비록 정탐군이 쓰기에 합당하지 못할지라도 적과 서로 마주하여 싸울 적에는 말 위에서 많이 가지고 각자가 소면 매우 편리하고 유익하며, 위급할 즈음에는 어린이와 여자라도 가지고 쏠 수 있기 때문에, 이제 세종통 150여개와 피령전 1,000개, 철전 1,500개를 보내니 마땅한 대로 사용하라` 이를 통하여 세종통은 크기가 아주 작아서 마상(馬上)에서 쏘기에 적합할 정도이며, 그 유지와 조작도 쉬워서 아녀자와 어린이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따 이런 휴대와 발사가 간편한 소형화기의 발달은 화기(花器)를 수성용(守城用)만이 아니라 행진용(行陳用)으로도 사용을 확대하였던 사실을 대변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세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54호 ▒ 지정연월일 1986년...
순서
![[인문학] 세총통에 대하여-1233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D%B8%EB%AC%B8%ED%95%99%5D%20%EC%84%B8%EC%B4%9D%ED%86%B5%EC%97%90%20%EB%8C%80%ED%95%98%EC%97%AC-1233_01.gif)
![[인문학] 세총통에 대하여-1233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D%B8%EB%AC%B8%ED%95%99%5D%20%EC%84%B8%EC%B4%9D%ED%86%B5%EC%97%90%20%EB%8C%80%ED%95%98%EC%97%AC-1233_02_.gif)



인문학 세총통에 대하여 / 세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54호
Download : [인문학] 세총통에 대하여.hwp( 83 )
[인문학] 세총통에 대하여 / 세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54호
세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854호 ▒ 지정연월일 1986년 3월 14일 ▒ 시 대 조선 전기 ▒ 규모ㆍ양식 전체길이 13.8㎝, 길이 8㎝, 부리 안 지름 0.9㎝ 부리 바깥지름 1.4㎝, 무게 130g ▒ 재 료 청동 ▒ 소 유 자 국유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130 육군박물관 세종통은 세종 14년(1432)에 창제된 휴대 총통으로,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 개발된 총통 중에서 가장 작다. 이는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의 병기도설(兵器圖說) 조에 화기의 크기에 따라, 총통완구(銃筒碗口), 장군화통(장군화통), 일총통(一銃筒), 이총통(二銃筒), 삼총통(三銃筒), 팔전총통(八箭銃筒), 사전총통(四箭銃筒), 사전장총통(四箭長銃筒), 세종통의 순서로 서술되는 점으로 알 수 있따 세종통에 관한 첫 기록은 ≪세종실록≫ 세종 19년(1437) 6월조에 다음과 같이 확인된다된다. `전일에 아뢰기를 `정탐꾼은 비록 몸은 작은 총통을 지니고 있을지라도 창졸간에 쏘지 못하니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라고 하였으나, 군기감(軍器監)에서 만든 세종통으로 시험하니 지니기와 쏘기에 모두 편리하였다.